Dongguk University
The Center for Collaborative Research on Population and Society
장애인의 인적 자본과 초혼이행
김미선, 김정석. (2023). 장애인의 인적 자본과 초혼이행. 한국인구학, 46(2), 1-21, 10.31693/KJPS.2023.06.46.2.1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447116
이 연구는 성인기 이전에 장애가 발생한 남성과 여성이 초혼에 이르는데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살피고자 한다. 특히 비장애인의 초혼이행에 중요 변인으로 알려진 인적 자본(학력, 직업, 소득 등)이 장애인의 경우에도 그러한지 또한 이들 변인들이 남녀별로 차이가 있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제2차 웨이브 제1~6차까지의 패널자료(2016년~2021년)를 결합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2016년 제1차 조사 시점의 연령이 18세 이상 65세 미만이며, 18세 이전에 장애가 발생한 지체, 시각, 청각 및 지적 장애인으로 구성되었다. 이산시간 사건사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학적 특성, 장애유형 및 정도, 성장기 가족배경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장애인의 인적 자본(최종학력, 종사상지위, 근로소득)에 따라 초혼이행률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혼이행률은 중간학력인 고졸에서 낮았으며, 중졸이하 혹은 대졸이상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고학력은, 비장애인의 패턴과 유사하게, 결혼의 주요한 직접 및 간접자원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저학력은 짧은 교육기간에 따라 결혼노출기간을 연장함과 동시에 결혼의 기회비용을 낮춤으로서 초혼이행률을 높이는 것으로 이해된다. 종사상지위에서는 비상용직, 상용직, 미취업 순으로 초혼이행률이 높았다. 결혼이행에 경제적 자원획득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미취업자의 결혼율이 낮은 것은 장애인에게서도 마찬가지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비상용직이 상용직보다 결혼율이 높은 현상은 비장애 여성들에게서도 발견된다. 이 현상은 기회비용의 차이와 결혼을 통해 안정된 경제적 기반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행위로 해석될 가능성을 남긴다. 이러한 해석은 근로소득수준과 초혼이행률이 보이는 역의 관계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의 인적 자본들의 성별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비장애인에게서 나타나는 부부간 성별분업(남성일인부양자모델)에 대한 기대가 장애라는 취약성에 의해 어려워진 결과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men and women with disabilities who became the disabled before adulthood to reach their first marriage.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whether human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occupational status, income, etc.), known as an important variable for the first marriage of the non-disabled, is the same for the disabled and whether these variables differ by gender. This study used panel data from the 1st to sixth rounds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targets consisted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visual or hearing disabilities,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18 or older and less than 65 years of age at the time of the first survey in 2016. As a result of the discrete-time event histor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first marriage tran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human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employment status, and earned income) of the disabled, even wh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ability type, and degree of disability, and family background are controlled. The first marriage transition rate of high school graduates was lower than below middle school graduates or college graduates or higher. Higher education, similar to the pattern of non-disabled people, seems to act as a major direct and indirect resource for marriage. On the other hand, it is understood that low education increases the rate of first marriage transition by extending the marriage exposure period according to a short educational period and reducing the opportunity cost of marriage. Regarding employment status, the first marriage transition rate was high in the order of non-regular workers, regular workers, and unemployment. In a situation where economic resource acquisition is required for marriage, the low marriage transition rate of unemployed people seems to work similarly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the phenomenon that non-regular workers have a higher marriage transition rate than regular workers is also found in non-disabled women.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as a difference in opportunity costs and a strategic action to secure a stable economic foundation through marriage. This interpretation also applies to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earned income level and the first marriage transition rate. The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and the above human capital variables were insignificant. The reason might be that the gender division expected between non-disabled couples has become difficult to expect under the vulnerability of dis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