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장애인의 남녀별 가족생애사건과 취업

등록일 2024-06-12 작성자 학과 관리자 조회 289

김미선 and 김정석. (2023). 장애인의 남녀별 가족생애사건과 취업. 한국인구학, 46(3), 63-7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04759

 

초록

대체로 결혼, 출산, 양육 등은 취업과 깊은 관련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가족생애사적 사건은 성별 연령규범과 역할규범 속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논문은 취업과 가족생애사적 사건의 연관이 장애인에게서도 발견될 것인가, 그리고 장애인의 성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인가라는 두 가지 질문에서 출발한다. <장애인실태조사(2020)> 자료를 사용하여 15세 이전 장애가 발생한 장애인의 연령대별 취업률을 계측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취업률은 전체인구의 취업률보다 모든 연령대에서 낮지만, 연령에 따른 곡선 형태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장애인의 취업에서도 남성은 ∩자형, 여성은 M자형으로 나타나 남녀 간 차이는 뚜렷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장애인 취업에 대한 가족생애사적 사건의 성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장애인고용패널조사> 제2차 웨이브 제1~6차 자료를 결합하여 패널프로빗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유형, 장애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가구주 여부, 공적이전소득 유무, 학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결혼여부, 미취학가구원유무의 성별 차이효과에 집중하였다. 전체상호작용모형(full interaction model)을 설정하기 전에 가산(additive)모형에 상호작용항목을 넣은 모형 간의 비교를 통해 다수의 항목들이 성과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남녀별 모형을 각각 제시하고 이전 단계에서 확인된 상호작용효과를 연계하여 결과를 해석하였다. 먼저, 결혼과 취업의 관계는 남성에게만 유의하였으며, 여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미취학가구원의 존재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했으나, 그 효과의 방향이 남성과 여성에서 반대로 나타났다. 미취학가구원이 있을 때, 남성의 취업확률이 높았지만, 여성에게서는 미취업의 가능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장애인의 노동시장참가 역시 성별역할규범이 작동하는 가족생애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It is well-known that employment status is deeply related to family life events (i.e., marriage, childbirth, and parenting). Besides, it is reported that family life events operate in gender role norms and age norms. This paper starts with two questions: Is employment associated with family life events in the disabled, and is the effect vary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disabled? We measured the employment rates by age groups of the disabled who have disabilities until age 15, using data from the 2020 Korean Survey of Disability. The result showed that the employment rates of the disabled are lower in all age groups than those of the total population. However, the disabled’ curve shapes drawn along with the employment rates’ points are similar to the total population’s. Even in the disabled’, men’s is ∩-shaped, and women’s is M-shaped, indicat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s clear. Next, we conducted panel probit analyses by combining the first to sixth data of the seco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o verify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family life events on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Controlling disability type, degree of disability, subjective health state, household owner status, public transfer income, and educational attainment variables, we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marital experience and preschool members’ existence with employm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odels with interaction terms in the additive model before setting the full interaction model, many variables’ interaction effects are significant. Accordingly, we presented male and female models and interpreted the results by linking the interaction found in the previous step. First, the effect of marriage was significant only in men. The existence of preschool members was significant in both, but the directions of the effects were opposite. Men were more likely to be employed when there were preschool members, but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unemployed. The results imply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in the labor market is also considerably associated with family life events in which gender role norms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