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가족관계 만족 및 대인신뢰에 따른 존엄사 태도의 차이

등록일 2024-06-12 작성자 학과 관리자 조회 284

김미선,황민지,and 김정석. "가족관계 만족 및 대인신뢰에 따른 존엄사 태도의 차이." 한국인구학 47.1 (2024): 109-12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68502

 

초록

인구 고령화 및 평균기대수명 연장과 더불어 만성질환자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고통스러운 불치병을 앓는 환자의 경우, 그에게 고통을 멈추고 ‘존엄한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지가 사회적 쟁점으로 부상하였다. 이 연구는 존엄사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가 그들이 인지한 가족관계 만족과 대인신뢰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 실시한 2018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를 활용하였으며, 총 853명을 대상으로 이항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주요 독립변수인 가족관계 만족과 대인신뢰 외에도 배경변수인 성, 연령, 교육수준, 소득, 주관적 건강수준, 가구형태, 종교를 고려하였다. 배경변수만을 투입한 모형에서는 소득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존엄사에 동의할 가능성이 높았고, 불교나 개신교를 믿는 사람이 종교가 없는 사람에 비해 존엄사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다. 배경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가족관계 만족과 대인신뢰 변수는 존엄사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에 불만족하고 일반적으로 사람들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이 존엄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즉, 존엄사 태는 가족관계 만족 및 대인신뢰와 반대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존엄사에 대한 사회적 담론 형성의 근거 마련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e population has age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has been extended, and the number of chronically ill patien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 social issue, whether patients with painful terminal diseases have the right to commit suicide as a way of stopping life-sustaining treatment, has emerged. The study analyzed how people's attitudes toward death with dignity differ by their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trust. Data from the 2018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conducted by the Survey Research Center at Sungkyunkwan University were used, and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on 853 cases. In addition to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trust, the analysis considered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subjective health level, household arrangement, and religion. A model considering only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people with a higher income level were likely to agree on death with dignity, and people who believed in Buddhism or Protestantism were likely to disagree on death with dignity compared to people with no religion.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trust variable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ttitudes toward death with dignity, even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variables. People who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family relationships and generally did not trust people were likelier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death with dignity. In other words, an individual's attitude toward death with dignity was inverse to perceived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trust.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basis for forming a social discourse on death with dignit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