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고령장애인의 건강증진 장벽요인 및 촉진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_노승현, 김정석, 신유리

등록일 2017-08-30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1219

고령장애인의 건강증진 장벽요인 및 촉진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_노승현, 김정석, 신유리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50세 이상 중증 및 경증 고령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설명모형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 즉 건강증진 장벽요인(장애추가의료비,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증진 촉진요인(도움요구충족도, 가족지지, 주변지지, 장애정체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건강증진행위가 매개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또한 장애정도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χ2값 257.878(df=127), TLI=.915, CFI=.943, RMSEA=0.054, SRMR=.055로 모형이 자료에 잘 적합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결과 건강증진행위를 내생변수로 일상생활수행능력, 가족지지, 장애정체감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생활만족도를 내생변수로 건강증진행위, 일상생활수행능력, 가족지지, 주변지지, 장애정체감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일상생활수행능력, 가족지지, 장애정체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건강증진행위가 매개하는 효과가 유의하였다. 다중집단 분석결과, 건강증진행위를 내생변수로 중증 고령장애인의 장애추가의료비 영향력이 유의하게 컸으며, 경증 고령장애인의 가족지지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컸다. 생활만족도를 내생변수로 경증 고령장애인의 경우 장애정체감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결론 :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고령장애인 건강증진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life satisfaction is associated with the health related status of the disabled aged 50 and over. Methods :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how obstacle factors of health improvement (additional medical expenses for disability and the limitations in ADL) and promotion factors (the extent of needs –fulfillment, supports from family and supports from friends and neighbors, and disability identification) have consequences through health improvement behaviors. Results : The study, relying on multigroup analysis methods, also examines such relationship differs by the degree of disability. It utilized the data from 2016 Survey on the Disabled collected by the research team of the authors. The empirical test reveals high level of goodness of fit for the proposed model. In the model, ADL, family support and disability identification affe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health promotion behaviors while they have direct effects.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health promotion behaviors are affected by additional medical expenses among those with severe disabilities whereas they are more influenced by family support among those with mild disabilities.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made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practices to improve health for the disabled in old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