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장애정체감의 하위차원별 영향요인과 함의_신유리, 김정석, 허준기

등록일 2018-02-27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1329

장애정체감의 하위차원별 영향요인과 함의_신유리, 김정석, 허준기


<초록>

장애정체감은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많이 이용되기는 하나, 이를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한국 내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장애정체감을 5개의 하위차원(인간으로서의 가치, 장애수용, 시민권리의식, 공통근거, 외적장애물인식)으로 구분하고 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사회적 관계(가족 및 사회적지지, 차별경험), 사회인구학적 특성(연령, 성별, 교육수준, 혼인상태 등), 장애특성(장애유형, 장애원인, 장애정도 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팀에서 수집한 제2차 장애인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애정체감의 하위차원에 공통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함께 각 차원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확인되고 있다. 사회적지지는 앞서 언급한 모든 하위차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정체감의 각 차원들은 공통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높아진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초대졸 이상의 교육은 장애수용 차원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한편, 인간으로서의 가치에서는 사회적지지, 중증장애와 사고로 인한 장애가, 장애수용에서는 사회적지지, 교육수준과 미혼, 중증장애가, 시민권리 의식은 사회적지지, 차별경험과 지체, 시각장애, 여성이, 공통근거는 사회적 지지와 연령, 외적장애인물 인식은 사회적 지지와 청각장애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위차원의 성격에 따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다를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는 장애정체감 단일 지수로 활용하는 연구에서 면밀한 사전 점검이 요구되며, 또한 장애정체감 향상을 위한 실천적 노력이 보다 전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기한다.


While disability identity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studies of the disabled, there has been few empirical research on whether and how it differed among the disabl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easures of disability identity in total and its five components in individual – human value, acceptance of disability, civil rights, common ground, and external barrier. The factors considered in the study include social relations(experience of discrimination, social suppor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sex, age, education etc.)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degree, cause, type and length of the disability). The analysis, based on the 2nd wave survey on the disabled persons conducted by SSK research team, revealed that there were common variables affecting five components in a similar way. This was the case with social support. Thus, it was reasonable to view social support as a promoter of disability identity. In the meanwhile, there were found variables with different influences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disability identity. Education level has affected on disability acceptance of all components of disability identity. For human value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effective were disability caused by accident and heavy disability: for civil rights and external barrie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physical disability, visible and hearing impairment; for common ground, age. The findings on variation in significant variables across the five components of disability identity suggest that the use of disability identity as a single measure require detailed caution in research plan. In addition, they provide a ground for more strategic approach to enhance disability identity in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