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그룹홈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_노승현, 김정석

등록일 2018-09-27 작성자 관리자 조회 1295

그룹홈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청년기 발달장애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_노승현, 김정석


<초록>

본 연구는 그룹홈 거주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그룹홈 종사자들의 대리응답조사와 발달장애인 당사자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87명의 자료가 확보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청년기 발달장애인들의 생활만족도는 직원 직무수행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사회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중고령 발달장애인들의 생활만족도는 활동피로감 수준이 낮을수록, 이용자 선택 수준이 높을수록, 직원 직무수행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룹홈의 직원 직무수행은 청년기와 중고령기에 공통적으로 유의하지만, 활동피로감, 이용자 선택, 사회활동 참여 등은 중고령기에만 유의한 것으로 정리된다. 이상의 결과는 그룹홈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서는 다른 연령층에 대비되는 이들의 차별적 욕구를 고려한 특화 건강지원, 사회활동지원, 서비스 공급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그룹홈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견해에 기초한 생활만족도를 증진하려는 노력과 그 맥을 같이한다. 본 연구는 향후 조기노화의 위험이 높은 다운증후군 장애인, 뇌성마비 및 지적 중복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이들의 차별적 욕구와 현황을 살피려는 연구로 확장되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young and old. Data a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of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via workers proxy responses at the group home. Regression model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387 cases. The result shows that the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more likely to satisfied with life when they evaluate job performance of workers at the group home and when they are more actively involved in community activities. For the ol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fe satisfac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evaluation of job performance of workers at the group home as in the young adults. In addition,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adults is higher when they feel less fatigue. It is also higher for those with more choices on residence and higher level of social activities. The findings reveals that enhancement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ol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welling at group home require supports and services for health and social activities different from other ages. It shares the general ideas that service efforts should be made for needs and desires of the recipien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o expand our research interests to include the disabled in danger of early aging, such as the persons with Down Syndrome and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erebral palsy, and look into their particular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