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 타당화_천희란, 조성일, 김일호
등록일 2018-11-29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1515
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 타당화_천희란, 조성일, 김일호
<초록>
연구목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개인이 보건의료 관련 의사결정을 스스로 하는데 충분한 건강정보와 보건의료서비스를 제대로 얻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고령자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특히 취약한 인구집단이다. 이 연구는 Chew 등이 개발한 척도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자료는 단면조사로 수집된 2016년 ‘서울 고령자 건강과 기능조사’ 60~79세 725명 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를 무작위로 두 표본으로 나누어 표본 A (n=400)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분석에 사용하고, 표본 B (n=325)는 확증적 요인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번역-역번역, 전문가 교차검토 등을 통해 최종 12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내적신뢰도 분석을 통해 최종 8문항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8개 설문문항은 2개의 요인 구조를 보였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았다(KMO=.872, Bartlett's χ2=2431.248, df= 28, p<.001). 확증적 요인분석은 추출된 이 두 요인 구조(건강정보 “이해” 와 건강정보 “활용”)의 구성타당도가 충족되는 결과를 보였다(χ2=53.386/df=19, GFI=.960, CFI=.979, TLI=.969, RMSEA= 0.075).
결론: 본 연구는 이 도구가 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타당도가 있음을 증명한다.
Objective: Health literacy (HL) 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have the capacity to obtain, process, and understand basic health information and services needed to make appropriate health decisions.” Being old is one of the main risk factors with limited health literacy. This study aims to adapt Chew’s health literacy scale into the Korean language and validate the scale for the use of the elderly.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6 Seoul Survey on Elderly Health and Functional Assessment, which includes a total of 725 people aged 60 to 79. The sample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of the modified Chew’s scale of 8 items. The Korean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group translation, expert reviews, and forward-backward translatio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assess and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Results: Results suggest the two-factor structure (“Understanding” and “Applying” of HL) with 8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of the first sample (n=400) revealed that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high (Cronbach`s α=.904). Principal axis factoring extracted two factors (“Understanding” and “Applying” of HL) and explained 78.3% of total variance (KMO=.872, Bartlett's χ2=2431.3, df= 28, p<.00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econd sample (n=325) was performed and the two-factor model was supported (GFI=.960, CFI=.979, TLI=.969, RMSEA= 0.075).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adequate criterion and validity of the health literacy scale for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