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gguk University
The Center for Collaborative Research on Population and Society
장애인의 건강불평등 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고찰_신유리, 김정석, 조혜진, 유동철
장애인의 건강불평등 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고찰_신유리, 김정석, 조혜진, 유동철
<초록>
최근 장애인복지에서 장애인의 건강권보장을 위한 구체적인 실현방안을마련하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의 건강불평등 개념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그 개념을 정립하고자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불평등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비장애인과의 건강격차, 또 장애인집단 내부의 다양한 요인에 의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보건의료, 사회학, 노년학, 사회복지학 등의 타학문에서건강불평등 용어가 사용되는 범위, 구성요소, 내용 등을 고찰하였다. 장애인의 건강불평등 개념의 명확한 속성을 파악하고자 Walker와 Avant(1995)의 개념분석 절차를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이 개념의 네 가지 속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속성은 ‘장애인의 건강에 대한 기본권리 박탈’, ‘장애인에 대한지속적인 사회적 차별의 결과’, ‘불평등한 보건의료서비스 접근 및 이용의산물’, ‘이차장애(secondary disability) 예방 및 관리지원 체계의 부재’, ‘개인적 사회적 결정요인으로 인한 집단 간이나 장애인집단 내의 건강상태의차이’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불평등이란 ‘장애인의 건강권의 박탈과 장애에 대한 지속적인 사회적 차별의 결과로 나타나는 불평등한보건의료서비스 이용과 이차장애 예방 및 관리지원 체계의 부재 등의 결과로써 발생되는 집단 간이나 장애인집단 내의 건강격차’로 개념화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건강불평등 개념정립을 위한 탐색적 수준이지만장애인의 건강불평등에 대한 기초지식과 개념을 정립하는 데 활용될 것이며, 나아가 이들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사회적 개입에 기초자료를 제공할것이다.
As the interests in guaranteeing health rights and supporting it’s solutions of the disabled are increasing, recently, researchers on conceptualization of health inequality of the disabled in the welfare of the disability positively are being implemented. This research is to be reestablishing concept of their health inequality how to applying it through literature reviews. Firstly, on examines the aspect of health differences between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difference within the same group of people with disabilities. Nextly, on considerate applied contents, elements, scope of health inequality terms in other learning such as Health Medical, Sociology, Gerontology, Social welfare. Besides, fore of a generic character of health inequality were deduced through the method of Walker and Avant theoretical procedure. Generic characters of this concept drew from this research is that there are ‘deprivation of the health righ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results of consistent social discrimination of people with the disability’, ‘products of inequality approach and using in heath service’, ‘nothing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secondary disability’, ‘health disparity with both of non-disabled and the disables or in a group of people with disability contributed to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From this generic characters, The concept of health inequality of people with the disability can be confirmed that it’s health disparity with both of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or in a group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occurred from products of inequality approach and using in heath service and nothing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secondary disability showed as results of which are deprivation of the health righ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result of social discrimination of people with the disability. Even though this results are exploring level for conceptualizing health inequality, provider basic knowledges in conceptualizing it and fundamental resources in social intervention for assuring health r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