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사회적 지지가 신체적 건강및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_노승현, 신유리, 김정석
등록일 2017-07-31
작성자 관리자
조회 1620
고령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사회적 지지가 신체적 건강및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장애정도에따른 다중집단 분석 -_노승현, 신유리, 김정석
<초록>
본 연구는 50세 이상 고령장애인이 경험한 차별과 이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가 신체적 건강(주관적 건강, 만성질환빈도)과 정신적 건강(우울도)에 미치는 영향이 장애정체감을 통해 매개되는지를 살피고 있다. 또한 이러한 매개효과가 중증장애인과 경증장애인에게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가를 함께 살피고 있다. 경험적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진이 수집한 장애인패널조사자료(2016년도)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장애정도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분석결과에 의하면, 장애정체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신체적 건강은 사회적 지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건강의 경우 장애차별경험, 사회적 지지, 장애정체감, 신체적 건강의 직접효과와 함께 사회적 지지가 갖는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고령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이들의 장애정체감을 향상하여 결과적으로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함을 의미한다. 한편 다중집단분석의 결과, 경증장애인에게서는 장애차별경험이 장애정체감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중증장애인에게서는 그러한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증장애인의 경우 공통근거 수준이 낮으며, 경증장애인의 경우 외적장벽 수준이 낮은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증 및 고령장애인의 차별성에 기초한 건강지원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explore whether and how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social support affects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through disability identity among the disabled aged 50 and over. We also examine such relationship differs by the degree of disability. For the empirical test, we utilized the data from the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our research team in 2016. According to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ocial support has a direct effect on disability identity. It also has a direct effect on physical health. As for the mental health, there are found direct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social support, disability identity, and physical health, Furthermore, social support influences the mental health through disability identity. This finding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for the disabled in old age increases disability identity and, in turn, it contributes their mental health. In the meanwhile, multiple group comparison analysis reveals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disability identity is found for those with lower level of disability but not for their counterparts. This seems to result from that the level of common ground which constitutes disability identity is low for the severely disabled. Thus, it requires our efforts to enhance disability identity focusing on common ground for the severe disab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