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다층모형을 이용한 부산지역 중장년층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_문경주, 장수지

등록일 2020-02-20 작성자 관리자 조회 1357

다층모형을 이용한 부산지역 중장년층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문경주·장수지/ 2019/ 항도부산/ 39/ 413-44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중장년층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그들의 정주의식을 제고할 정책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는 달리 개인수준의 요인과 지역수준의 요인이 포함된 다층화 데이터를 이용한 다층모형을 통해 부산지역의 중장년층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개인요인과 지역사회 요인을 통합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부산지역 중장년층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있어서 개인수준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거주기간이 길수록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수준에서는 인구증가율이 높고, 고령화비율이 높은 지역 그리고 문화 관련시설 인프라가 잘 갖추어지고 사회안전망 역할을 하는 사회복지예산의 비중이 클수록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수준과 지역수준 요인 간의 상호작용효과 분석결과에서는 연령과 지역사회의 문화기반시설수 간 그리고 교육수준과 지역사회의 문화기반시설수 간에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장년층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문화인프라가 잘 갖추어질수록,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의 문화인프라를 잘 활용하고자 할수록 그들의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부산지역의 중장년층이 현 거주지역에서 Aging in place의 전제가 되는 정주의식을 제고할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sidered two purposes : finding out factors that affect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f the middle aged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nd exploring the policy alternatives to raise up their settlement consciousness. For extracting out factors affecting settlement consciousness, variables was determined in the two different levels: the local community level and the individual one. Based on this research desig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local community level and the individual one were analyzed by using the multi-level model.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t individual level analysis, male, age, subjective social economic consciousness and length of residence affect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Second,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analysis, population growth rate, elderly population ratio, cultural facility condition and social welfare budget ratio influence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ird, the age and education level at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cultural facility condition at the local level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when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level and local community level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alternatives to building up the program for Aging in place of the middle aged in Busan i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