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연구 기획의도와 목적

연구기획의도

본 연구는 장기적 다학제연구를 통해 현재 한국 중년층의 삶의 모습, 규정요인, 변화방향들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의도에서 기획됨

 

연구목적
  • 현재 한국 중년이 직면한 주요 사회과제 분석, 문제지점과 해결방안 모색
  • 경제, 사회, 정치, 문화변동 속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중년의 이슈 도출
  • 중년의 사회과제를 생애주기와 세대 특성의 중첩성으로 분석
  • 역사적, 비교사회학적 접근을 통해 한국 중년을 시공간적으로 자리매김함
  • BPS, Life Course, P.E.(Political Economy) 등의 관점 통합 이론적 틀을 체계화함
  • 중년연구에 필수적인 심층면접조사를 수행하고 그 자료를 공유함

 

연구수행상 중년정의

실질적 논의는 역(曆)연령에 의존. 2025년 현재 48-67세(58-77년 출생집단), 베이비부머와 386세대 다수 포함

 

왜 중년인가?
  • 생애의 가교시점: BPS 측면에서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는 전환기
  • 샌드위치세대: 부모부양, 자녀교육과 독립, 본인의 노후준비 3중고에 놓임
  • 거대한 인구규모: 4차산업혁명 등 변화 속 노년 진입의 사회적 파장
  • 사회안전망 속 그림자세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사회안전망에서 비껴나 있음
  • 중년의 이중적 이미지: 정치, 경제권력 핵심/ 소외되고 우울한 중년

 

중년에 대한 연구동향의 검토
  • 국내 연구경향-풍부한 자료, 빈약한 이론, 연구의 미시화: 중년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최근에 활발히 이루어지나 노년학분야와 같은 현상이 발견
  • 중년에 대한 학문분과적 특성과 학문간 간극: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과학적 분야 등에서 학문분야별 연구가 대부분. 다학제 연구가 드묾
  • 생애단계상 중년과 특정세대로서의 중년이 혼돈되거나 애매한 분석이 많음. 연령효과, 기간효과, 코호트효과(APC) 분석이 요구됨
  • 해외연구: 미시적, 분과적 접근이 대세를 이루나 MIDUS와 MIDJA 등의 연구팀이 중년특화된 연구활동을 장기간에 걸쳐 수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