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단계별 목표

제1차년도: 한국사회 중년의 주요 현황과 과제
핵심내용
  • ① 남성 갱년기의 발견과 여성 갱년기의 재의미화: 의료화, 상품화의 역동
  • ② 중년의 이중적 사회이미지와 혼란의 자기인식: 꽃중년, 꼰대 등
  • ③ 중년의 고독사 :중년의 다차원적 빈곤과 비가시성
  • ④ 일-가족 중심 자아의 탈맥락화: 사회관계속 혼란
연구방법
제2차년도: 한국사회 신중년의 등장과 삶의 실천전략들
핵심내용
  • ① 중년의 자기관리: 안티에이징에서 바디포지티브, 중년 항노화 상품 및 서비스 이용
  • ② 중년 자기돌봄 상품화와 과업적 심리: ‘자연인’ ‘마음챙김’ ‘미니멀라이프’ 유행
  • ③ 중년의 자기실현과 새로운 가족관계: 졸혼, 가족돌봄(부담)의 재구성과 재의미화
  • ④ 신중년 문화와 중년의 자기성찰-사회공헌형 직업탐색: 중년 유튜버, 협동조합활동
연구방법
제3년도: 한국사회 변화와 위기속 중년의 위치짓기와 사회대응 방향모색
핵심내용
  • ① 중년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사회심리자원: 과거, 현재, 미래 중년의 자원분포와 변화
  • ② 돌봄노동(가족/사회적 돌봄)을 통해본 한국중년의 특수성: 가치관과 실천 국제비교
  • ③ 제4차 산업혁명, 디지털-비대면 상황 속 중년의 일과 사회관계 변화
연구방법